목차
병원 가서 진료 못 받아요!!!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 제일 쉽게 알아보세요!!!
이제 병원이나 각종 의료기관을 방문 시 본인확인 의무제가 시행되어서 신분증이나 건강보험증이 없이는 진료를 받을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만약 진료를 받더라도 일반으로 진료받고 14일 안에 재방문하여서 다시 본인확인하고 환급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제일 간단하고 간편하게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받아서 병원에 두번 방문하는 번거로움 없이 바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5월 20일부터 기존에 다니던 병원이라도 이제부터는 신분증이나 건강보험증을 꼭 지참하시고 가셔야 건강보험 혜택을 받으실 수 가 있습니다. 그런데 바쁜 와중에 깜박하고 그냥 병원에 방문 시 난감한 상황이 펼쳐집니다. 다시 가서 가져와야 하든지 일반진료를 받고 14일 이내에 다시 방문해서 환급을 받든 지 그런 불편함이 생기게 됩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에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있으면 따로 챙길 번거로움없이 신분확인이 가능하므로 오늘 글을 읽어보시고 그대로 신청하시면 1분이면 발급이 끝나고 아주 간편하게 진료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1. 스마트폰에 앱 설치
먼저 스마트폰에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설치하고 준비해 주세요.
2. 앱을 실행시키시고 개인을 선택해 줍니다.
- 언어 선택 화면에서는 한국어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 모바일 건강보험증에 대한 안내화면이 나오면 다음을 누르시거나 건너뛰기를 선택합니다.
3. 약관 동의에 대한 화면에서는 전체 동의를 누르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4. 본인 인증방법 화면에서 인증 절차를 진행합니다.
-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본인 명의의 기기로만 설치사용 가능하오니 본인명의 기기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휴대폰 인증이나 금융인증서 중에서 편하신 걸로 선택해서 진행해 주세요
5.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비밀번호 4자리 입력화면이 나옵니다. 개인의 비밀번호를 설정하시면 됩니다.
6. 드디어 발급이 완료되었습니다. 정말 간단하게 발급되죠? 이제 병원 가셔서 하단의 QR제출을 눌러서 보여주면 됩니다.
여기까지 따라오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본인신분 확인 제외 대상
- 만 19세 미만인 사람
- 응급환자인 경우
- 본인 확인한 병원에서 6개월 이내에 재진 하는 환자
- 진료의뢰 또는 회송환자
- 처방전에 따라 약국에서 약을 지급받는 사람
- 거동이 현저하게 불편한 사람
위의 경우에 해당된다면 병원 진료 시 신분증 제시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미성년자는 신분증 확인을 하지 않으니 어린 자녀가 있으신 가정은 따로 신경 써서 챙기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 외 사용가능한 신분증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여권
- 외국인 등록증
- 국가보훈 등록증, 장애인 등록증
- 모바일 신분증
위의 신분증들은 주민번호나 외국인 등록번호가 나와있어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이면 사용가능합니다.
여기까지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받는 방법과 다른 신분등 활용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스마트폰은 필수적으로 온 국민이 사용하는 기기이니 간단하게 설치받으셔서 여러 곳에서 편하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